목록OS/Linux (8)
다메다메의 기술블로그
VBox\Main\src-server\MachineImpl.cpp[725] (long __cdecl Machine::registeredInit(void)). 자신은 평범하게 사용했을 뿐인데 위의 메세지라던지 그 외에 메세지를 띄우며 버추얼 박스가 기동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럴때는 /home/user/VirtualBox VMs/window8.1 이런 경로에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존재한다. window8.1.vboxwindow8.1.vbox-prev 필자의 경우는 window8.1이라서 8.1이다자신의 버전에 맞춰서 이해해 주길 바란다. 위의 두 파일중에 1. window8.1.vbox-prev -> window8.1.vbox-temp 파일복사 2. window8.1.vbox 는 삭제 3. window8..
리눅스 설치 패키지 목록 확인 1. rpm(CentOS, 레드햇)rpm -qa | grep 패키지명 2. dpkg(우분투/데비안)dpkg --get-selections | grep 패키지명
리눅스 포트 사용하는 프로세스 확인 특정 포트를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netstat -anp | grep LISTEN | grep :포트번호 예)# netstat -anp | grep LISTEN | grep :80tcp6 0 0 :::80 :::* LISTEN 10483/apache2
우분투에서 일본어 입력하기 1. ibus 일본어 키보드 라이브러리 설치 $ sudo apt-get install ibus-anthy 2. ibus 데몬 재시작 $ ibus restart 3.사용할 입력 소스 추가 - 일본어 (Anthy)를 추가한다 모든 설정이 끝났다면 Shift + 왼쪽 Alt를 통해 일본어 입력이 가능하다
1. 환경 변수에 설정 된 현재 자바 버전 확인 #java -version 2. 현재 자바 위치 확인 #which java 3. 자바 링크 경로 확인 #la -l /usr/bin/java(2번에서 확인 한 자바 위치) 4. 기존 링크 끊기 #unlink /usr/bin/java 5. 새로운 링크 지정하기 #ln -s /(새롭게 지정 할 패스)/java /usr/bin/java(2번에서 확인 한 자바 위치) 6.확인 #ls -l /usr/bin/java #java -version
우분투에 환경 변수를 등록하고 싶을 때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등록하면 된다. 예) JAVA 설치 후 환경 변수를 등록할 때 environment 파일을 vi 모드로 연다sudo vi /etc/environment environment 파일에 아래와 같이 JAVA_HOME의 Path를 기입한다 JAVA_HOME="/usr/lib/jvm/java-7-oracle" 우분투를 리부팅하고 나면 적용 된다.
우분투가 업데이트를 해달라고 졸라서 업데이트를 해줬다. 업데이트가 끝나고 나니 리부팅도 해달라고 해서 리부팅도 해줬다. 그리고 나서 버츄얼박스로 윈도우를 실행시킬려고 하니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표시 되었다. VirtualBox error: Kernel driver not installed (rc=-1908) '뭐지? 업데이트를 하기 전까지만 해도 버츄얼박스로 윈도우를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Kernel drive가 인스톨이 안 됐을리가 없잖니..' 이럴 때는 역시 구글링이다..도와줘요~ 구글님! 서양 코쟁이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sudo /etc/init.d/vboxdrv setup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나오며 해결되었다. Stopping VirtualBox kernel modul..